꿀벌이 사라지면 식탁도 위험해집니다
지구온난화, 수분활동, 그리고 우리가 먹는 음식들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도 위태롭다.”
이 말, 혹시 들어보신 적 있나요?
들으면 뭔가 심각해 보이긴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래도 우리 삶과는 좀 먼 이야기 아닌가?’ 싶을 수도 있죠.
하지만 사실 꿀벌의 존재는 우리 식탁, 나아가 식량 안보와 직결된 문제입니다.
오늘은 지구온난화와 꿀벌의 관계,
그리고 꿀벌이 줄어들면 우리의 식생활에 어떤 일이 생기는지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 꿀벌, 단순히 꿀만 만드는 존재일까요?
꿀벌은 단지 ‘꿀을 모으는 벌’이 아닙니다.
이들은 꽃에서 꿀을 빨면서 다리에 꽃가루를 묻히고, 다른 꽃으로 날아가 꽃가루를 옮겨줍니다.
이렇게 꽃가루를 전달해주는 행동을 ‘수분(受粉)’이라고 하죠.
이 수분활동 덕분에 식물은 열매를 맺고 씨를 퍼뜨릴 수 있게 됩니다.
즉, 꿀벌은 식물 번식의 숨은 주역이자 농업 생산의 파트너입니다.
🍓 꿀벌이 사라지면 사라지는 음식들
다음과 같은 작물들은 꿀벌의 수분활동 없이는 수확량이 줄거나, 아예 열매를 맺지 못합니다:
딸기, 사과, 블루베리, 참외, 수박, 호박
아몬드, 커피, 브로콜리, 양배추, 아보카도
전 세계 작물의 약 70%가 동물에 의한 수분활동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중 꿀벌이 차지하는 비율은 압도적입니다.
즉, 꿀벌이 없으면 우리가 먹는 음식의 3분의 1이 사라질 수 있는 셈이죠.
🌡 지구온난화는 왜 꿀벌에게 위협일까요?
지구의 평균 기온이 올라가면서 꿀벌의 생태에도 다양한 변화가 생기고 있습니다.
꽃 피는 시기와 꿀벌 활동 시기가 어긋나기 시작하고,
기후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를 겪고, 면역력 저하로 이어지며
농약과 살충제 사용 증가로 인한 집단 폐사하게 됩니다.
그 결과, 꿀벌은 더 이상 안정적으로 수분활동을 할 수 없게 되죠.
‘수분 부족 → 식량 생산 감소 → 식량 가격 상승’이라는 구조가 이어지고 있죠.
🍽 식탁 위 위기, 우리도 영향을 받습니다
꿀벌이 줄어들면 가장 먼저 영향을 받는 건 과일과 채소입니다.
특히 식물성 단백질, 섬유소, 비타민의 주요 공급원이 줄어들면 건강 불균형, 식량 불안정, 영양 격차문제가 발생합니다.
2022년 UN 식량농업기구(FAO)는
“꿀벌과 같은 수분 매개 생물의 감소는 인류 식량 체계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 그럼 우리는 뭘 할 수 있을까요?
* 도심 속 벌친화 식물 심기→ 꿀벌이 좋아하는 꽃: 라벤더, 민들레, 해바라기, 샐비어
* 살충제 줄이기, 친환경 농산물 소비 늘리기
* 지구온난화 완화 행동 실천→ 걷기, 대중교통, 에너지 절약
* 교육과 인식 확산→ 꿀벌의 중요성에 대해 주변과 함께 이야기해 보기
꿀벌의 존재는 작지만, 그 영향은 거대합니다.
우리가 먹는 것,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 그 모든 것에 꿀벌이 관여하고 있습니다.
기후 위기 속에서 ‘벌’이라는 존재는 그저 귀찮은 곤충이 아닌, 생명의 연결 고리이자 지구가 우리에게 보내는 신호일지도 모릅니다.
오늘, 한 송이 꽃을 보며 꿀벌을 떠올려 보세요.
그리고 우리가 꿀벌에게 줄 수 있는 작은 배려가 결국 우리 자신을 위한 투자임을 기억해 주세요.
'루에의 일상처방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연휴 갈 만한 곳, 통영국가유산야행 (0) | 2025.04.16 |
---|---|
중간고사 전 암기과목 벼락치기 비법 (0) | 2025.04.16 |
어종별 금어기 정리-이 시기에 낚시하면 불법입니다 (0) | 2025.04.14 |
청년을 위한 지자체별 귀촌 귀어 혜택 (1) | 2025.04.14 |
근로장려금 5월엔 꼭 신청하세요 (2) | 2025.04.13 |